매매 기법 2

주식 매매 기법 - MACD 지표를 활용한 매매 (중, 장기 매매)

개념정리 MACD란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를 말한다. 이동평균선이 수렴과 확산하는 것을 보고 중기 혹은 장기로 추세 매매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이다. MACD 곡선은 단기 지수 이동 평균 - 장기 지수 이동 평균으로 구할 수 있다. MACD signal선은 n일의 MACD 지수 이동 평균이다. 보통 단기 지수 이동 평균은 12일, 장기 지수 이동 평균은 26일, Signal 선은 9일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즉, 중장기 매매의 시점에서 MACD선이 상향 돌파할 경우 상승추세로 변하는 것을, 하향 돌파할 경우 하락 추세로 변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활용방법 기본적으로 추세 지표이기 때문에, 횡보하고 있는 추세에선 사용하기 힘들다. 하락 추세에서 하방 힘이 ..

매매 기법 2021.08.03

주식 매매 기법 -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를 활용한 매매

개념정리 볼린저 밴드는(Bollinger Bands)는 주식이나 코인 등에서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1980년대에 존 볼린저가 개발한 분석 도구다. n일의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드는 밴드를 설정한 그래프이며, 일봉의 경우 대개 20일의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표준편차는 2로 설정한다. 키움 기준 기본 설정이 20, 2로 되어있으며 D1값이 표준편차 값이다. n의 값을 올리면 표준편차 기준 일수가 늘어나서 신뢰도는 올라갈 수 있으나 밴드 상단이나 하단에 주가가 가까워지는 경우가 더 드물어진다. 이는 표준편차 값도 마찬가지이다. 위 그림에선 D1(표준편차) 값이 σ로 표현되어있는데 2σ의 경우 95%, 2.5σ의 경우 대략 99% 정도가 나온다. 이 95%, 99%의 의미는 D1..

매매 기법 2021.08.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