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정리 |
볼린저 밴드는(Bollinger Bands)는 주식이나 코인 등에서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1980년대에 존 볼린저가 개발한 분석 도구다.
n일의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드는 밴드를 설정한 그래프이며, 일봉의 경우 대개 20일의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표준편차는 2로 설정한다. 키움 기준 기본 설정이 20, 2로 되어있으며 D1값이 표준편차 값이다.
n의 값을 올리면 표준편차 기준 일수가 늘어나서 신뢰도는 올라갈 수 있으나 밴드 상단이나 하단에 주가가 가까워지는 경우가 더 드물어진다. 이는 표준편차 값도 마찬가지이다.
위 그림에선 D1(표준편차) 값이 σ로 표현되어있는데 2σ의 경우 95%, 2.5σ의 경우 대략 99% 정도가 나온다.
활용방법 |
매매 기법 란의 볼린저 밴드를 활용한 매매에 정리해두었다.
▶ 주식 매매 기법 -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를 활용한 매매
주식 매매 기법 -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를 활용한 매매
개념정리 볼린저 밴드는(Bollinger Bands)는 주식이나 코인 등에서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1980년대에 존 볼린저가 개발한 분석 도구다. n일의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stocka.tistory.com
반응형
'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보조지표 - MACD 정리 (추세의 전환 확인 지표) (0) | 2021.08.03 |
---|---|
주식 보조지표 - PVT 정리 (OBV 지표에 주가 등락 추가) (0) | 2021.08.01 |
주식 보조지표 - OBV 정리 (거래량을 통한 세력 매집 확인 지표) (0) | 2021.08.01 |
주식 보조지표 - MFI 정리 (RSI지표에 거래량을 더한 지표) (0) | 2021.08.01 |
주식 보조지표 - RSI 정리 (주가를 통한 매수 매도 구간 확인) (0) | 2021.07.30 |